Taichung: 2021 Asian Art Biennial

Installation view of BANG & LEE’s The Place That Has No Name, 2021, three-channel video with stereo sound system, wall text, drawing, 3D animation, 3D printed ceramic sculpture, and round table, dimensions variable, at “Phantasmapolis,”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2021-22. Courtesy the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his bleak atmosphere is…

미디어 액티비즘, 여전히 ‘투명한’ 기술 사회

고윤정 (독립기획자, 이미단체 대표) 아무것도 없는 사막, 누구도 보이지 않는 그곳의 낯선 주택과 창고, 황야를 휩쓰는 것 같은 스산한 바람 소리… 전시장을 들어서면 영화 매드맥스에나 나올 법한, 인류가 멸망한 모습 이후의 세계처럼 낡고 거친 장면들이 눈 앞에 펼쳐진다. 2020년 초반 ‘코로나’라는 팬데믹 위기가 시작된 이후 어느덧 2년 가까이 되었고, 그 동안의 라이프스타일이 계속 변화하여 온…

방앤리, 미디어와 기술진보의 이면진보의 이면

서진석 / 독립기획자jinloop@hanmail.net2019-09-01 듀오로 활동하는 방앤리(방자영, 이윤준)의 작품은 설치와 뉴미디어 아트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터랙티브 아트나 테크놀로지 중심의 미디어 아트와는 구별되는 다양한 실험들을 보여준다. 미디어 아트의 개념적인 특성에 충실하면서도 비평적 관점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동시대적 질문과 연결되어 있고 뉴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중심을 관통하는 주제는 흥미로운 해석을 끌어낸다. 기술의 진보와 사회 변화, 미디어에 노출된 개인의 삶, 네트워크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해리1), 예술가 되기(becoming-artist)를 연습하다.

신보슬토탈미술관 책임 큐레이터 Scene 1. 어떤 오해- 방앤리의 작업은 어렵고, 불친절하다. 관객은 종종 방앤리의 작업 앞에서 무엇을 봐야 하는지, 어떤 메시지를 읽어야 하는지 난감해 한다. 자연스레 작품이 어렵고 뭔지 모르겠다고 불평을 한다. 사실이다. 방앤리의 작업에는 현대사회는 물론 세계사에 대한 엄청난 레퍼런스들이 있다. 그뿐이 아니다. 소위 미디어아티스트이기에 꽤 복잡한 프로그래밍과 기술적인 언어들도 난무한다. 이 모든 것을…

방앤리 :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것들

유진상계원예술대학교 교수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그리고 공동체와 국가 간 경계들 안팎의 상호의존적 네트워크가 복잡해질수록, 사람들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넌-제로섬’ 해결방식에서 찾으려 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즉, 이익-손해 방식 대신 이익-이익 방식을 택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상호의존성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다른 이들이 과업을 더 잘해낸다면 우리들도 더 잘하려고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 모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