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st in Metaverse

로스트 인 메타버스
Year
2023
Genre
Text, Time-based Media
Media
3D animation, game engine, digital human creator
Dimensions
3840x2160, 07:03

디지털의 황무지로… 🏜️🐪🏝️⛰️

《로스트 인 메타버스(Lost in Metaverse)》는 메타버스로의 여정을 떠납니다.

전작 《천 개의 얼굴, 끝없는 풍경(A Thousand Faces, Infinite Landscape)》(2022)의 3D 애니메이션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줘’라고 부탁하는 디지털 휴먼 J 아바타의 정지된 페이스로 끝납니다. 다시, 가상 세계의 게임 레벨이 로딩됩니다. 이 디지털 풍경은 초원이 아니라 여전히 사막, 외딴곳, 아무도 없는 “이름 없는 곳 middle of nowhere”입니다.

메타버스 세상의 디지털 황무지를 탐험하는 아바타. 언리얼 엔진 메타휴먼 크리에이터로 제작된 디지털 휴먼 캐릭터 J와 Y는 어둠이 내려앉은 한적한 국도를 인공지능 시스템이 장착된 완전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고 달립니다. 이들이 달리는 길, 디지털 세상의 풍경은 어떤 날씨일까요?

모든 게 가능하지만, 동시에 불가능의 장소인 가상 세계의 날씨는 흐립니다.

만약 디지털 사막에 비가 온다면? 기후재난 이후 펼쳐진 풍경처럼 우리의 아바타는 이 낯설고 삭막한 풍경에 놀랍니다. 버려진 땅, 무너진 건축, 부동산 투기의 끝판 어쓰와 랜드의 자산들이 무용지물이 되고, 시끌벅적 화려한 이벤트가 끝난 후, 이제 아무도 찾지 않는 곳이 되어 버렸습니다. 한때 설렘과 함께 일종의 두려움을 가지고 낯선 가상 세계에 입장했던 수많은 사람들은 진품 대신 영수증 사본을 들고 가끔 찾아오곤 했지만, 그저 덧없는 발걸음일 뿐. 아무런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 곳은 금방 아무것도 없는 곳, 기억에서 쉽게 사라져 버립니다.

로스트 인 메타버스는 변화무쌍한 날씨와 같은 메타버스 세상에서 실시간 변화하는 창작 환경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예술활동의 다양성과 자유로운 표현을 추구합니다. 온라인의 관객과 함께 우리는 미지의 땅, 메타버스로 다시 떠납니다.

Embarking on a journey into the digital wasteland… 🐫🌵🦂🐸

The 3D animation A Thousand Faces, Infinite Landscape (2022) concludes with the frozen face of J, a digital human avatar, uttering a single request: “Go back to the beginning.” Once again, the game level of the virtual world reloads. This digital landscape is not a meadow but still a desert—a desolate place, a “middle of nowhere.”

Avatars wander through the digital wasteland of the metaverse. J and Y, digital human characters created with Unreal Engine’s MetaHuman Creator, ride in an autonomous vehicle equipped with AI systems, gliding along a quiet highway as darkness descends. What will the weather be like on their journey through the digital world?

Anything is possible—yet the weather in this virtual realm, a place of boundless potential and paradox, remains cloudy.

What if it rains in the digital desert? Like a landscape emerging after a climate disaster, the avatars marvel at this unfamiliar, barren terrain. Abandoned lands, crumbling structures, the aftermath of real estate speculation—the ruins of land and property lie in obsolescence. Once a stage for bustling, glamorous events, this place is now deserted, forgotten, no longer sought after by anyone. Many once entered this strange virtual world with excitement and a touch of fear, sometimes leaving only with a receipt copy instead of genuine goods. But now, it’s just a fleeting step—a place without value quickly fades into nothingness, disappearing from memory.

Lost in Metaverse explores the ever-shifting creative landscape of the metaverse, as unpredictable as the weather, questioning the diversity of artistic expression and the pursuit of creative freedom. Together with an online audience, we embark on this journey once more, venturing into the unknown land—the metaverse.

다시, 모든 스토리는 폐허로부터 시작된다.

가상 세계의 발길이 끊긴 곳, 버려지고 방치된 곳, 끊임없이 생성 되는 디지털 폐허(ruin)는 또 다른 디지털 유적(ruins)을 만듭니다. 방앤리는 ‘Where is my territory?(나의 영토는 어디인가?)’라는 중장기 프로젝트의 주제를 통해 자기 지시적 속성을 통해 반복되는 질문을 제기하며, 모순, 소외, 격리, 기술격차 등 물리적 세계와 메타버스 세상에서 발생하는 차이와 차별의 문제에 대한 작가적 관점을 후속 작품으로 더욱 확장합니다.

폐허가 아름다울 수 있을까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세계는 게임 월드, 즉 허구적 설정을 바탕으로 가상과 실재, 픽션과 논픽션 사이 어떤 스토리가 펼쳐지는 장소입니다. 이제 사막 레벨을 벗어나 여행길에 오른 J와 Y는 도로를 달립니다. 다양한 세계를 방문하고 공간과 상황에 따라 아바타의 외형과 디자인, 스펙, 용도, 성격, 플레이가 달라지는 디지털의 영토에서 또 다른 계획을 세우고 꿈을 꾸기 시작합니다. 폐허가 아름다울 수 있을까요?

모두를 위한 예술을 향해, 아르코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

관객 접근성을 위해 3D 애니메이션에 자막 캡션(CC)과 함께 음성해설(AD)을 제공합니다.

Once more, every story begins from ruins.

Places where the footprints of the virtual world have been cut off—abandoned and neglected—continually generate digital ruins, which in turn create yet another set of digital ruins. Through the long-term project Where is my territory? (2019–), Bang & Lee pose recurring questions through their self-directed properties, expanding their artistic perspective on contradictions, alienation, isolation, and the technological disparity between the physical world and the metaverse in subsequent works.

Can ruins be beautiful?

The world that serves as the backdrop for this artwork is a game world, a place where fictional settings form the foundation for unfolding narratives that blur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 fiction and non-fiction. Now, J and Y, having ventured beyond the desert level, drive along the road. As they visit different worlds and reimagine their journey, avatars begin to dream in a digital territory where appearance, design, specifications, purpose, personality, and play evolve according to space and situation. Can ruins be beautiful?

Towards Art for Everyone, with support from ARKO’s Online Media Art Activity

To enhance accessibility, the 3D animation includes subtitles with closed captions (CC) and audio descriptions in Korean.

로스트 인 메타버스
단채널 3D 애니메이션, 게임엔진, 디지털 휴먼 저작 소프트웨어
2023년

영상정보
재생시간: 7분 3초
크기: 3840 x 2160, 4K
오디오 채널: 스테레오
Lost in Metaverse
Single-channel 3D animation, game engine, digital human creator
2023

Movie Info.
Duration: 07:03
Dimensions: 3840 x 2160, 4K
Audio Channels: Stereo